1. 영화 개요 및 배경
영화 <건축학개론>은 2012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로 이용주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고, 엄태웅, 한가인, 이제훈, 수지, 조정석 등이 출연하였습니다. 이용주 감독이 연세대 건축과인 만큼, 건축가의 이미지를 평소 매체에서 그랬듯이 화려하게 비추기보다는 현실적으로 표현한 점이 관계자로부터 호평을 많이 받았습니다. 남자 주인공인 승민은 대학 시절의 첫사랑을 회상하면서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건축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두 사람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며, 그 안에 담긴 이야기를 통해 사랑의 복잡함과 성장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 주요 캐릭터 분석
영화 <건축학개론><건축학개론> 속 캐릭터들은 각기 다른 매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이 겪는 감정선은 영화의 핵심입니다. 승민은 과거의 첫사랑을 잊지 못하고 서연은 그와의 사랑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그려주며, 이 두 인물은 각기 다른 배경과 성격을 가지고 있어 그들의 관계는 영화의 핵심적은 축을 이룹니다. 과거 승민의 둘도 없는 절친인 재수생 납득이는 감칠맛 나는 감초연기로 조연이지만 주연급의 인기와 파급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작중 납득이가 뱉은 수많은 대사들이 전부 유행어가 되었으며, 납득이 역할을 맡은 조정석은 이 작품으로 인해 슈퍼스타가 되었습니다.
3. 영화 줄거리
영화 <건축학개론>은 아버지의 병환으로 아버지가 살던 제주도 집을 헐고 다시 지으려는 여자 주인공 서연(한가인 분)의 모습으로 시작됩니다. 한 건축가 사무실에서 대학 친구인 승민(엄태웅 분)에게 제주도의 허름한 아버지 집을 새로 지어달라고 말하지만 승민은 이런저런 핑계로 거절하며 서연의 화를 돋구다 결국 승낙하게 됩니다. 서연은 15년 전인 대학 1학년 시절, 승민과의 추억을 잊지 않고 있습니다. 이들은 ‘건축학개론’ 수업에서 처음 만났는데 당시 서연은 음대생, 승민은 건축학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건축학 수업 첫날, 집에서 학교까지 오는 길을 지도 위에 그려 넣어보라는 교수의 말에 서연은 빨간 펜으로 선을 그었고, 그 선위에 포개어 선을 긋는 승민의 모습에 잠시 물음표를 머리 위에 띄웠지만 이 둘은 같은 동네에 살고 있다는 걸 알게 됩니다. 다음 주까지 자신이 사는 동네의 골목이나 건물들을 사진으로 남기는 것이 서연과 승민의 과제입니다. 이 과제를 위해 카메라를 들고 나온 승민 앞에 서연이 나타나며 둘의 만남은 시작되지만, 숫기가 없던 승민은 재수생 친구 납득이(조정석 분)을 만나 연애 상담을 하게 됩니다. 동네를 돌다 대문 밖으로 삐져나온 담쟁이가 있는 빈집을 발견하고 서연은 그곳으로 서슴없이 들어가지만 승민은 망설이다 서연을 뒤따라 들어갑니다. 이곳은 승민과 서연에게 추억의 장소가 되고, 다음 날 최대한 먼 곳으로 과제를 핑계로 떠나 데이트를 하며 첫눈 오는 날 만나자는 약속을 하며 그들의 추억은 쌓여만 갑니다. 종강 파티가 있던 날, 승민은 서연에게 고백하기 위해 그녀의 집 앞에서 추위에 떨며 서연이 오기를 기다리던 중 그녀의 집 앞으로 재욱(유연석 분)의 차가 보이고 술에 취한 서연이 내리는 장면을 보게 됩니다. 재욱은 서연을 부축해 집으로 들어가고 이를 본 승민은 발걸음을 돌립니다. 다음 날, 둘의 아지트에 갔다가 승민이 남기고 간 흔적을 발견하게 되고, 서연은 승민에게 승민이 첫사랑이었다는 고백을 하며 승민은 그동안의 오해로 과거 엇갈렸던 일들을 풀게 되며 이야기는 끝이 납니다.
4. 음악과 영상미
영화 <건축학개론>의 음악과 영상미 또한 이 영화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요소입니다. 영화 속 배경음악은 극 중 주인공들의 감정의 깊이를 더하며, 각 장면과 잘 어우러져 관객의 몰입감을 높입니다. 특히 서연과 승민이 함께 듣던 전람회의 ‘기억의 습작’은 승민이 서연에게 갖고 있던 호감이 더 깊어지는 장면으로 노을이 아름답게 비추는 영상미는 관객으로 하여금 자신들만의 추억을 상기시키는 장면이 되었습니다. 이처럼 감성적인 OST는 각 장면의 분위기를 극대화하며, 관객이 인물의 감정에 몰입하게 만듭니다.
5. 영화의 평가 및 메시지
영화 <건축학개론>은 1996년 하반기로 설정되어 있는 시대적 배경이 관객들로 하여금 향수를 불러일으키게 해야 할 중요한 설정인 만큼 이용주 감독이 시대 고증 부분에 상당한 심혈을 기울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영화상에 특별히 설정되거나 일부러 등장하는 소품, 의상 중에는 시대적 고증에 대해 상당히 세심하게 설정하는 등 노력을 많이 한 부분들도 있지만, 의외로 어렵지 않게 조사할 수 있는 부분들을 감독 본인이 간과하거나 1994년의 시대적 배경과 다소 혼동하여 오류를 일으킨 것들이 존재하며 그 밖에 주변 환경에 대한 고증 및 오류 사례들도 존재한다는 평이 있습니다. 이러한 영화 <건축학개론>은 첫사랑의 아픔과 그리움, 그리고 성장의 과정을 아름답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첫사랑의 순수함과 그리움은 모든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감정입니다. 또 영화는 과거의 기억이 현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며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서 사랑의 본질과 인생의 의미를 되새기게 합니다. 사랑은 시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으며, 그 기억은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축이라는 요소는 각 인물의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공간의 의미를 통해 사랑의 다양한 모습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또한, 건축이라는 주제를 통해 사람의 인생과 관계를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누구나 한 번쯤 겪었을 첫사랑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며, 그리움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느끼게 해줍니다.
'영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브레터 : お元気ですか、私は元気です。 (1) | 2025.01.19 |
---|---|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1) | 2025.01.18 |
브리짓 존스의 일기 : 당신은 지금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인가요? (5) | 2025.01.16 |
오만과 편견 : 운명은 사랑을 따라 변합니다 (1) | 2025.01.15 |
러브 액츄얼리 : 사랑의 다양한 얼굴들 (1) | 2025.01.14 |